본문 바로가기

Feminism

잃어버린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-기분이 조크든요!

728x90


1994년 MBC 뉴스입니다.

1분 10초경부터 보면 됩니다.

"이렇게 입으면 기분이 좋거든요"

"X세대"라는 그때 그 시절 언니들의 말투.

딱 부러지고 시원합니다.

옷차림도 개성 있고 남의 시선 신경쓰지 않는 당당함이 있습니다.

당시의 TV뉴스 인터뷰가 대본을 가지고 연출한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기는 있습니다만, 뭐 그건 그리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.

인터뷰 자체는 연출일 수도 있겠지만, 사회적 맥락이 있었으니 전파를 탔을 것입니다.


2016년 오늘 날 TV를 틀면 어떻습니까?

예능 프로그램에서 여성이 게스트로 등장 할 때마다 늘 "애교"를 요구합니다.

귀엽고 아이같은 말투를 쓰지 않으면 기가 쎄다고 합니다.

엠버에게 "여자답게 입으라"는 비난이 쏟아집니다.

"픽미 업"을 소곤거리며 주체성 없는 "선택의 대상"이 되기를 자처합니다.

얼마전 민주당의 테러방지법 필리버스터가 화제가 된 적이 있죠.

심지어 정치인들도 여성은 "조곤 조곤" 말합니다.

은수미, 진선미 등 여성의원들의 말투와 남성의원들의 말투를 비교해보면 차이가 확연합니다.

당당하고 딱부러지게 말하는 여성이 전멸했습니다.


#이렇게입으면기분이조크든여

옷차림에서도 성차별과 사회적 억압은 선명합니다.

성폭력 피해자들조차 심지어 경찰들로부터, "그 밤중에 그렇게 입고 돌아다니니까"라는 말을 들어야 합니다.

SOUP 같은 "남자들이 보기에 심히 좋았더라" 내지는 "저는 무해합니다"를 드러내 보일 수 있는 옷이 권장됩니다.

정장에 하이힐 대신 플랫슈즈를 신으면 "예의가 없다"는 소리를 듣습니다.

트위터에서 한때 이런 맥락에서 나온 #이렇게입으면기분이조크든여 해시태그가 유행하기도 했습니다.


깐느 레드카펫에 하이힐을 거부하고 맨발로 입장하고 있는 줄리아 로버츠. 사진 / elle.com GETTY +

사진 출처 : [elle.com] GETTY+


...여기서도 덜떨어진 수컷들이 낄 곳 안 낄 곳 구분 못하고 끼어들기도 했습니다만(#여자_자기자랑 해시태그 때도 그랬죠)... 

이렇게 입으면 기분이 좋다는 당당한 말투와 함께, 많은 사람들이 옷차림과 외모에 가해지는 사회적 억압에 대해서 이야기 했습니다.


만 여기서 중요한 지점은 "외모와 옷차림에 대한 사회적 억압을 거부"한다는 맥락입니다.

그냥 이렇게 입으면 기분이 좋다는 자기만족에서 끝나버리면 그건 그냥 패션쇼나 다를 바 없죠.

외모와 옷차림에 대한 품평을 단호히 거부하고, 옷차림에 대한 자유를 누리겠다는 선언입니다.

물론 옷차림은 개인의 선택이기 때문에, 소위 "무해한" 옷차림에 대한 선택은 존중 받아야 합니다.

그건 비난받을 일이 아닙니다.


다만, 그 맥락을 이해하지 못하고 자유로운 옷차림에 대한 이야기를 "폭력"이라고 헛다리 짚는 사람들이 간혹 있습니다.


"나만 당당해진다고 해서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라고요." [링크]


이런 걸 자기검열이라고 하죠...

이런 자기검열에 제일 좋아할 사람들이 누구일까요.

당당해지기 위해 #이렇게입으면기분이조크든여 가 있는 겁니다.

옷차림, 외모에 대한 부당한 품평과, 사회적으로 만연해 있는 성차별, 그것을 인식하고 저항하자는 이야기죠.

그럴만한 담력이 부족한 사람들에게 "쎈 옷차림"을 "강요"한 사람도 없었거니와... 더군다나 "자기 몸을 사랑하라"는 말은 폭력이 아닙니다.

#이렇게입으면기분이조크든여 나, 자기 몸을 사랑하는 조언이 폭력적이라고 느껴진다면, 남성 중심의 성차별적인 시선에 완전히 제압당해 있다는 얘깁니다.

움츠러들어 "무해한 옷차림"만 고수하면 결국 바뀌는 건 아무 것도 없고, 성차별을 공고히 하는 데 도움만 줄 뿐입니다.


1994년만 해도 TV에서, 그것도 제일 보수적이라 할 수 있는 지상파 프라임 타임 뉴스에서 볼 수 있었던 저런 "쎈 언니"들이 지금은 모조리 없어졌다는 것이 참 암담합니다.

TV에서 똑부러지게 자기 이야기를 자신의 언어로 구사하는 여성을, 언제쯤 다시 볼 수 있을까요...

반응형